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병원성 세균 중 하나입니다. 아래에 간략하게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박테리아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겠습니다.
🔬 1. 기본 정보
-
학명: Serratia marcescens
-
분류:
-
계(Kingdom): 세균(Bacteria)
-
문(Phylum):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
강(Class):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Gammaproteobacteria)
-
목(Order): 장내세균목(Enterobacterales)
-
과(Family):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
-
속(Genus): Serratia
-
-
형태: 그람음성 간균(Gram-negative bacillus)
-
운동성: 주모성 편모(peritrichous flagella)를 가지고 있어 운동성이 있습니다.
-
포자 형성: 하지 않음
-
특징적인 색소: 프로디지오신(prodigiosin)이라는 붉은색 색소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실온에서 잘 생성됩니다.
🏥 2. 병원성 및 감염 경로
S. marcescens는 원래는 환경에 존재하는 기회감염균(opportunistic pathogen)입니다. 하지만 병원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1 주요 감염 질환
-
요로 감염(UTI): 도뇨관 사용과 관련된 병원 내 감염 중 하나입니다.
-
폐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납니다.
-
패혈증: 혈류 감염을 통해 전신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
수막염: 특히 신생아나 면역저하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결막염 및 각막염: 안과적 수술이나 콘택트렌즈 오염 시 발생합니다.
-
상처 감염: 수술 부위나 외상 부위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2.2 감염 경로
-
병원 내 의료기구(카테터, 호흡기, 정맥주사 장비 등)의 오염
-
손위생 미흡한 의료진을 통한 전파
-
오염된 약물이나 수액 사용
🧪 3. 진단 방법
-
배양 검사: 혈액, 소변, 객담, 뇌척수액 등에서 세균을 분리하여 배양합니다.
-
그람 염색: 그람음성 간균으로 염색됩니다.
-
항생제 감수성 검사: 치료 방침 결정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PCR 등 분자진단법: 특정 유전자 확인을 통해 감별 진단에 활용됩니다.
💊 4. 항생제 내성 및 치료
4.1 내성 특징
S. marcescens는 다음과 같은 내성 메커니즘을 지니고 있습니다:
-
β-락탐 분해효소(β-lactamase) 생산
-
AmpC β-lactamase를 발현하여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을 가짐
-
카바페넴 분해효소(Carbapenemase) 생성 사례도 보고됨
-
다제내성(MDR) 균주가 증가 추세에 있음
4.2 치료제
감수성에 따라 다음 항생제들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세팔로스포린계 (예: 세포타지딤)
-
카바페넴계 (예: 메로페넴)
-
플루오로퀴놀론계 (예: 시프로플록사신)
-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예: 아미카신)
-
복합제제 (예: 피페라실린/타조박탐)
항생제 선택은 반드시 감수성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해야 합니다.
🧫 5. 감염 예방
-
의료기구의 철저한 멸균 및 관리
-
손위생 및 병원 감염관리 수칙 준수
-
감염환자 격리 및 감시
-
환경소독 철저
📌 6. 기타 특징
-
붉은색 색소인 프로디지오신은 항균, 항암, 면역조절 등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어 의약·생명공학 분야에서 연구 중입니다.
-
환경 내 생존력이 높아 수돗물, 소독제, 수액병 등에서도 검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