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미만 인구의 60% 이상인 38억 명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1(HSV-1)은 일단 감염되면 몸에서 사라지지 않고 면역력 저하, 스트레스, 피로 감기 등을 계기로 갑자기 나타나는 질병이다.
1. 개요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viridae)는 이중 가닥 DNA(dsDNA)를 가진 외피(Envelope) 보유 바이러스로, 다양한 척추동물에 감염을 일으킨다. 인간에게 질병을 유발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9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주로 알파(α), 베타(β), 감마(γ) 헤르페스바이러스의 세 가지 아과로 나뉜다.
이 바이러스의 가장 큰 특징은 신경절(ganglia) 또는 면역세포 내에 잠복(latency)하여 재활성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감염 후 완전한 제거가 어려우며, 면역력이 저하될 경우 재발이 발생할 수 있다.
2. 주요 인간 감염 헤르페스 바이러스
A. 알파헤르페스바이러스(α-herpesvirus)
-
단순포진 바이러스 1형(HSV-1, Herpes Simplex Virus-1)
- 주로 구강 및 안면 부위(입술, 입 주변, 눈)에 감염을 일으킴
- 전염 경로: 타액, 직접적인 피부 접촉
- 특징적인 증상: 구순포진(herpes labialis, 입술물집), 각결막염(herpetic keratoconjunctivitis), 헤르페스뇌염(herpetic encephalitis)
- 잠복 장소: 삼차신경절(trigeminal ganglion)
-
단순포진 바이러스 2형(HSV-2, Herpes Simplex Virus-2)
- 주로 **생식기 헤르페스(genital herpes)**를 유발
- 전염 경로: 성접촉, 산모-신생아 수직 감염
- 특징적인 증상: 생식기 부위 수포성 병변, 통증, 가려움증
- 잠복 장소: 천골신경절(sacral ganglia)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ZV, Varicella-Zoster Virus, HHV-3)
- 급성 감염: 수두(varicella, chickenpox)
- 재활성화: 대상포진(herpes zoster, shingles)
- 전염 경로: 비말, 직접 접촉
- 특징적인 증상:
- 수두: 전신에 퍼지는 소수포성 발진
- 대상포진: 피부절(segmental dermatome)에 따라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수포 및 신경통
- 잠복 장소: 후근신경절(dorsal root ganglion)
B. 베타헤르페스바이러스(β-herpesvirus)
-
거대세포바이러스(CMV, Cytomegalovirus, HHV-5)
- 면역억제 환자(장기 이식, HIV 환자)에서 중증 감염을 유발
- 전염 경로: 타액, 성적 접촉, 수혈, 장기이식, 모유 수유
- 특징적인 증상: 선천성 감염(소두증, 망막염), 면역저하자에서 폐렴, 위장염, 뇌염
- 잠복 장소: 단핵구계 혈구(monocytes), 장기 조직
-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6형(HHV-6A, HHV-6B)
- 주로 HHV-6B가 영유아에서 돌발진(roseola, exanthem subitum)을 유발
- 전염 경로: 타액
- 특징적인 증상: 고열 후 전신성 발진
- 잠복 장소: T세포, 단핵구, 타액샘
-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 7형(HHV-7)
- HHV-6과 유사하게 돌발진을 유발할 수 있음
- 주로 무증상 감염
C. 감마헤르페스바이러스(γ-herpesvirus)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Epstein-Barr Virus, HHV-4)
- 전염 경로: 타액 ("키스 병"으로도 불림)
- 특징적인 증상:
- 전염성 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 IM): 발열, 인후통, 림프절 비대
- 관련 암종: 버킷림프종(Burkitt's lymphoma), 비인두암(nasopharyngeal carcinoma)
- 잠복 장소: B세포
-
카포시 육종 연관 헤르페스 바이러스(KSHV, HHV-8)
- 전염 경로: 성접촉, 혈액
- 특징적인 증상: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주로 HIV/AIDS 환자에서 발생
- 잠복 장소: 혈관내피세포
3. 진단 및 치료
-
진단 방법
- PCR(중합효소 연쇄 반응): 바이러스 DNA 검출
- 혈청학적 검사: 항체 검사(IgM, IgG)
- 바이러스 배양: 일부 경우 활용
- Tzanck 도말검사: 단순포진, 대상포진 감별(거대세포 관찰)
-
치료제
- 항바이러스제(Antiviral drugs):
- 아시클로버(Acyclovir), 발라시클로버(Valacyclovir): HSV, VZV
- 간시클로버(Ganciclovir), 포스카넷(Foscarnet): CMV
- 리바비린(Ribavirin): HHV-6, HHV-7 일부 치료 가능
- 항바이러스제(Antiviral drugs):
-
예방 및 관리
- 수두-대상포진 백신: 수두백신(Varivax), 대상포진 백신(Shingrix, Zostavax)
- 감염 예방: 개인 위생, 성접촉 주의
4. 결론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한 번 감염되면 평생 숙주 내에 잠복하는 특징이 있어 완전한 치료가 어렵다. 하지만 적절한 항바이러스제 치료와 면역력 관리로 재발을 예방하고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특정 유형(VZV, CMV, EBV, HHV-8)은 면역억제 상태에서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고위험군에서 조기 진단과 예방적 치료가 중요하다.